Changyu Lee

Ultra-Learning On My Mind

Published at
2025/03/24
Last edited time
2025/03/24 04:51
Created
2025/03/20 06:28
Section
Life Log
Status
Done
Series
Tags
Log
AI summary
Keywords
UltraLearning
Language
KOR

울트라러닝

울트라 러닝이란 무엇인가?

지식과 기술을 얻기 위해 스스로 설계한 고강도 학습 전략
평균의 시대는 끝났으며, 기존의 경력을 가속화하고 남다른 커리어를 만들어가는데 사용
새로운 분야를 학습하며 가능성을 확장시킴

법칙 정리

법칙 1: 메타 학습 - 먼저 지도를 그려라
법칙 2: 집중하기 - 짧은 시간에 집중도를 높여라
법칙 3: 직접하기 - 목표를 향해 똑바로 나아가라
법칙 4: 특화 학습 - 취약점을 공략해라
법칙 5: 인출 - 배운 것을 시험하라
법칙 6: 피드백 - 날아드는 조언을 피하지 마라
법칙 7: 유지 - 새는 양동이에 물을 채우지 마라
법칙 8: 직관 - 뼈대를 세우기 전에 깊이 파라
법칙 9: 실험 - 자신의 안전지대 밖을 탐험하라

법칙에 관한 개인적 성찰

메타 학습 지도
울트라러닝 프로젝트에서 성공의 핵심은 어떤 주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어떤 종류의 기술과 정보에 숙달해야하는지, 어떤 방법을 사용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지 아는 것.
적용
단기적 방법
프로젝트 시작 전 일정 기간 동안 메타 학습을 증진시키는데 초점을 맞춰 탐색 진행
장기적 방법
울트라러닝 프로젝트 진행 중에 일반적인 메타 학습 기술들을 더욱 향상 시킴
학습 역량, 시간의 효율적 사용, 동기 관리 등 검증된 전략들을 가지게 된채로 학습 과정을 즐기게 되는 과정이 분명 존재하게 됨.
메타 학습 지도를 만들기 위한 3가지 질문
‘왜’ 그것을 배우려 하는가?
전략: 전문가 면담 등
‘무엇을’ 획득해야 하는가?
개념:
사실 정보
절차
어떻게?
벤치마킹
강조 제거 → 목적에 맞도록
이 파트에서 목적에 맞게 나의 학습도 당연하게 바뀐 사실을 새삼 깨달았다. 단순히 정해진 길을 가는게 아니라 빠르게 갈 수 있는 나의 길을 찾아가는 과정이 꽤나 매력적이긴 하지만. 탐색에서 질질 끌리는 느낌이 들 것 같은 요즘엔 어떻게 가야할까라는 생각뿐이다.
직접 하기 전략
프로젝트 기반 학습
담금형 학습
모의 비행 방식
과다 학습법 - 극도로 까다로운 기준이 요구되는 환경에 처하게 만들어 중요한 피드백을 놓치지 않게 함
필요한 수준 이상의 시험이나 과제에 도전하는 걸 목표로 삼는 것
특화 학습 전략
율속속도의 파악 → 병목을 일으키는 취약점을 집중 공략
직접학습 하기 후에 율속 속도 파악을 번걸아 하는 것으로 공략
특화 학습을 위한 방법들
시간 쪼개기 → 행위 시퀀스에서 한 조각을 떼어내는 것
인지 요소 거르기
흉내 내기
돋보기 방식
되돌아가기
인출
우리는 스스로 무엇을 잘 배웠는지 확실하게 아는 능력이 없음
직접 실행으로 인출을 할 수 있겠으나 의존하게되면 머릿속에 없는 지식은 문제를 푸는데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김
처음에는 어느정도 지식에 수동적으로 노출되고, 이후에 인출 연습에서 이득을 얻을 수 있음
인출 전략
낱말 카드 → 특정 형태의 지식에 대해 적합한 방법 (단서 - 반응)
자유 회상 →
문제집 방식 → 기억할 내용을 문제로 바꿔서 적고 나중에 답하는 것
그 장이나 부문에 관한 큰 개념들을 질문 형태로 재작성해보는 것
도전 만들기
클로즈북 → 책을 보지 않고 개념도 작성
유지
초과학습
직관
파인만 테크닉
종이 한 장에 이해하려는 개념이나 문제를 위에서부터 써내려간다.
그 아래 공간에 누군가에게 가르치듯이 설명을 해본다
그것이 개념) 그 개념에 대해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사람에게 어떻게 전달할 수 있을지 스스로 물어본다
그것이 문제) 어떻게 풀지 설명한다. 그리고 풀이 과정이 어째서 타당한지 스스로 설명해본다.
벽에 부딪혔을 때, 즉 자신이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정답을 도출하지 못했을 때는 책, 공책, 교사, 참고 자료 등으로 돌아가 답을 찾는다
실험; 집요한 연습을 놀이로 만들라
실험의 3단계
학습 자원들에 대한 실험
기술을 실험
양식을 실험
실험 전략
따라 하라 그리고 창조하라
방법들을 나란히 놓고 비교하라
새로운 제약을 도입하라
관련 없는 기술들을 결합해 자신의 가장 강력한 힘을 찾아라
극단을 탐험하라

학습 전략에 대한 적용

이번에 대학원에 붙으면서 나의 학습 목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1.
XR 기반의 3차원 Understanding 하는 VLA / VLM 연구를 할 수 있는 연구자가 되기
2.
RA / 인턴 / 수업 / 네트워킹을 위한 영어 실력 향상
아마도 5개월짜리 프로젝트일 듯한데… 최근 세미나도 참석하면서
책을 읽으면서 어떤 적용을 할 수 있는가를 조금 살펴봤다. 나름 재밌었던 부분과 여러 생각들을 후술해보면,
절차적 암기에 관해서 면접 스크립트의 암기 시 표현의 흐름을 외워서 영어 면접을 대비해봐야겠다는 생각.
인출과 파인만 테크닉을 통한 깊은 직관을 얻기.
영어를 공부하는 목적에 있어서 더 심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
장기기억을 위해 꾸준하게 공부하는 것도 중요하겠다는 것.
논문을 직접하고, 연구실에 연구참여로 나 자신을 밀어붙여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아무래도 회사 일에 다른 일도 하자니 많이 바쁘겠지만… 뭐 유학을 가게됐으니 그래도 제대로 한 번 해보겠다는 생각. 하지만 할거면 제대로. 언제나 나를 움직이게 하는 말이지 않을까 싶다.